이해하고 기억을 유지하기 위해서 리마인드가 필요합니다. 여러 차례 리마인드를 거치게 되면 기억하고, 응용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. 결국 리마인드란 생각과 사고를 통해서 진행됩니다. 무작정 외운다고 기억이 쉽게 저장되는 것은 아닙니다. 따라서 배운 내용을 되풀이해서 학습할 수 있는 인터넷 강의와 콘텐츠 그리고 이해를 도와주고 확인해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습니다.
강의 영상을 만드는 것과 강의를 하는 것은 거의 별개의 문제입니다. 일반적인 강의는 학습자의 상황에 맞는 강의를 진행하게 됩니다. 반면, 영상 제작은 스튜디오에서 잘 짜인 시나리오에 따라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다른 방법도 고려할 수 있지만 콘텐츠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장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곧 깨닫게 됩니다. 이런 것들은 비용과 시간이라는 것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현실에 반영시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.
계획된 강의 영상과 필요할 때 제공되는 영상에는 차이가 있습니다. 필요할 때 제공되는 영상은 거의 실시간으로 진행되어야 그 가치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. ① 설명 시간이 부족했을 때, ② 학습자 중 일부가 이해 못 한 부분이 있을 때, ③ 핵심적인 내용을 다시 강조하고 싶을 때, ④ 다양한 문제 풀이의 설명이 필요할 때, 그리고 누군가 이미 잘 설명한 콘텐츠를 공유하고 싶을 때입니다. 그럼 어떤 방법이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까요? 저희가 준비한 앱을 사용하면 혼자서 쉽게 시간을 크게 들이지도 않고도 필요한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제작된 영상은 언제든 학습자를 위해 되풀이되어 시청할 수 있게 만들고, 한번 만들어진 콘텐츠는 교수자 스스로를 위해 재활용될 수 있습니다.
오늘날 대부분 학습자들은 어려서부터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소셜 네트워크를 즐겨 이용하고 있습니다. 어쩌면 강의를 위해 대화방이나 밴드를 만들어서 사용할지도 모르겠습니다. 개인 메일이나 전화번호를 서로 공유하고 있습니다. 어떤 채널을 통해서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. 마치 유튜브의 동영상이 여러 채널을 통해 공유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. 만약 스마트폰이 없다면 데스크톱을 통해 웹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합니다. 학습자가 특별히 제작된 앱을 통해서 더욱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전까지 모두가 별도의 지식 없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.
학습자가 강의 내용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시점은 대부분 새로운 것을 배우는 시점이 아닙니다. 어느 정도 생각할 시간이 주어져야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을 때 질문은 효과적입니다. 질문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거나 학습자들끼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. 물론 교수자는 이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필요할 때 개입하여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서야 합니다. 이런 일련의 과정은 수업시간에 이루어지기가 어렵습니다. 그러나 온라인이라면 이런 상황 전개는 가능해집니다. 더불어 개별적인 질문에 즉시 설명을 포함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이라면 학습자에게 큰 도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